“지금 당신에게 필요한 것은 첫 발을 떼기 위한 용기이다.”, -크리스 앤더슨-말을 잘하고 싶은 사람, 프레젠테이션을 잘하고 싶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나에게 하는 ‘질문’을 보며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수많은 사람들이 하는 대부분의 질문이 스킬적인 부분이었고, 이를 통해 한국 사회에서의 스피치 혹은 프레젠테이션이 매우 ‘스킬적인 부분’에 치중해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좋은 발표란 좋은 발표 스킬에서 나온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았다. 맞는 말이다. 좋은 발표를 위해 스킬적인 부분도 물론 중요하다. 하지만 이는 마지막 단계이다. 본질이 아니란 뜻이다. 그러다보니 아이러니하게도 전문적으로 발표를 하는 ‘프리젠터’인 내가 ‘콘텐츠의 중요성’에 대해 계속해서 외치게 되었다. 오늘은 ‘콘텐츠..
‘자신’이 하고 싶은 이야기를탐구하고, 나의 이야기를 들을 ‘사람’을 탐구하라.프레젠테이션은 발산의 한 과정이다. 그래서인지 진심을 담아 사람들의 눈을 보며 수많은 프레젠테이션을마친 뒤, 내 안에 커다란 구멍이 뻥 뚫린 것 같은 기분이 들 때가 있다. 단순히 몸이 지친 것과 다른 내 안이 텅텅 비어버린 공허한 느낌인데, 이럴땐 푹 쉬어도 반짝이는 눈빛이 돌아올 생각을 안 한다. 그때마다 나는'인문학'을 찾았다. 책이든 강연이든 내 안을채워줄 수 있는 것, 커다랗게 뚫려버린 내 마음을 채워줄 수 있는 본질적인 무언가가 필요했다. 그렇게 나의 지난 4년 간의 시간을 돌아보니, 내가 좋아하는 것 두 가지를 꾸준히 해오고 있었다. 프레젠테이션과인문학, 이를 통해 발산(비움)과 채움의 밸런스를 맞출..
일상에서 겪는 다양한 순간들을 온전히 나만의 이야기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꿈꾸는 스토리젠터' 채자영씨를 만나보았습니다. "저 마다의 일생에는, 특히 그 일생이 동터오르는 여명기에는 모든 것을 결정짓는 한 순간이 있다." 장 그르니에의 이라는 소설에 나오는 첫 문장입니다. 삶의 '결정적 순간'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구절인데요, 제 삶에도 그런 순간이 있었어요. 프레젠테이션을 통해 사람들에게 무엇을 전달하고자 하나요? 일상을 특별하게 만드는 채자영만의 힘이 있다면?주변사람들에게 전달해줄 수 있는 채자영만의 행복 에너지는? 감사하게도 제가 ‘프리젠터’라는 일에 열정을 느끼고, 최선을 다하는 모습만으로도 응원해주시는 거 같아요. 진짜로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사는 사람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나, 많이들 궁금..
작년(2011) 가을 경, 서점에서 책을 둘러보다가 우연히 발견한 책입니다. Joel Osteen 목사를 각종 언론매체에서 이미 여러 번 접한 적이 있기에 별 거부감 없이 책을 집어 든 순간, 굵은 활자로 된 단순한 제목이 제 호기심을 강하게 자극하였습니다. ‘긍정의 힘’ 몇 장을 들쳐보다가 바로 그 자리에 선 채로 책 전부를 순식간에 다 읽게 되었습니다. 여러 가지 스트레스로 삶에 고달파 하던 당시에 Osteen 목사가 전해주는 메시지 하나하나는 제게 시원하고도 신선한 청량제처럼 다가왔습니다. 이 책은 우리가 살아가면서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 부정과 긍정의 인식 차이가 인생이란 한 편의 여정을 완성해 감에 있어 얼마나 큰 영향을 각각 다른 방식으로 미칠 수 있는지 여실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현직 목사의..
- Total
- 5,170,230
- Today
- 253
- Yesterday
- 2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