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인프라 운영에는 고객요청/변경관리, 서버, WAS, DBMS등의 성능관리, 장애관리, 배치관리, 자동화 시스템 등 각 기능별 많은 IT운영관리시스템이 이용되고 개별 관리 담당자가 존재합니다. 관리 담당자를 별도로 배치하는 이유는 기존 트랜잭션 데이터 규모가 급증하고 새로운 유형의 데이터가 폭발하면서 관리 범위가 늘어나고 깊은 업무 전문성이 요구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는 각 관리시스템 현황 공유 등의 업무 Communication, 업무별 상관 관계분석을 통한 조직 Synergy 창출에 미흡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한, 서버 및 IT운영관리시스템 등 다양한 소스에서 생성되는 방대한 분량의 데이터의 효율적인 축적과 실시간 처리, 통합 상관관계분석을 Big Data기술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방..
Data는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습니다. 관점 중 하나는 Data의 생성 주체로, 인간이 만들어 내는 Data와 기계가 만들어 내는 Data로 구분해 볼 수 있습니다. 우리는 후자를 영어로 'Machine-generated Data'라 부릅니다. 오늘 소개해 드릴 기업은 Splunk (http://splunk.com/) 로, 기계가 만들어 내는 엄청난 양의 Data를 Monitoring 하고 분석해 Business Insight를 제공하는 기업입니다. Machine Data 앞서 말씀 드린 Machine-generated data를 Splunk에서는 ‘Machine Data’라 부릅니다. 다양한 Server와 Database, Smartphone과 Tablet, Sensor들이 쉴 새 없이 ..
- Total
- 5,154,989
- Today
- 100
- Yesterday
- 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