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 Z Serverless 서비스가 게임 개발의 꿈을 가능하게 만들었습니다!”
필요한 인력과 자금의 확보, 기술력, 심지어 게임 개발 경험과 노하우까지,,,인디 게임사가 게임을 개발 과정에서 만나게 되는 일 중 뭐 하나 내 마음대로 되는 것이 없죠.
시장 상황을 보더라도 국내뿐 아니라 해외 유명 게임 스타트업들도 줄줄이 사업을 접으면서 게임시장의 어려움을 다시 한 번 느끼게 합니다.
이렇듯 어렵지만 도전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특히, Cloud
Z Action (서버리스) 서비스가 인디 게임사의 도전을 가능케 하는 강력한 엔진이 되고
있다고 합니다.
장안의 화제였던 G-Star 2018에도 참석했던 2명의
젋은 인디 게임사들을 만나 이야기를 들어보았습니다.
*2개사는 SK㈜ C&C 인디게임 지원사업에
선정된 기업입니다.
인터뷰 참석자
1. 인디게임팀 H&S (Hard & Swag)
2. 인디게임팀 내일게임즈
Q: 회사 소개를 간단히 부탁합니다!
H&S: H&S (hard & Swag)은 콘텐츠
진흥원 게임교육원 과정 및 대학교에서 만난 동료들과 뜻을 모아 만든 회사로 모바일 기반 캐주얼 게임을 개발 중입니다. 현재 총 4명 (기획 1명, 개발 2명, 시나리오 개발 1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내일게임즈: 내일게임즈는 선배와 함께 의기투합해서 2016년 가을에 창업한
회사로 슈팅과 RPG 형식을 결합한 게임을 개발 중이고 개발자 1명과
디자이너 1명의 진짜 인디게임사입니다.
Q: 현재 어떤 게임을 개발하고 있나요?
H&S: 현재 개발 중인 리듬퀘스트는 일종의 리듬 게임입니다. 지금까지의 슈팅 게임들은 총알을 피하는
방식인데, 우리 게임은 캐릭터들이 총알을 리듬에 맞춰 막아내고 공격하는 방식입니다. 리듬을 접목해 게임 재미와 속도감을 더욱 높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모험적인 스토리를 가미해서 게임 참여도를 높이려고 합니다.
내일게임즈: 현재 개발 중인 게임 리틀메이지는 어릴적 오락실에서 보던 비행기 게임의 전투 방식을 스테이지형 RPG에
접목한 장르입니다. PVP, 월드보스레이드, 요일던전 등
다양한 컨텐츠를 준비 중에 있습니다.
그럼 잠깐 여기서 Cloud Z Action(서버리스)가 어떤 서비스인지 간단히 알아보도록 할까요?
Cloud Z Action은 서버 관리 없이 서버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입니다. Cloud Z Action은
FaaS (Function As A Service)이기 때문에 개발자가 서버 환경 구성이나 연계 걱정없이 코드만 작성하면 자동 빌드
및 배포되고, 개발자들이 바로 사용할 수 있는 API Endpoint를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필요 시에만 실행되고 과금되는
Pay-as-You-Go 방식이라 IT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이런 구조적 장점 때문에 인력과 자원이 부족한 인디게임사를 위한 최적의 개발 플랫폼이라고 불리는 것 같네요.
FaaS를 통해 앱 설계 및 개발의 새로운 트렌드가 생긴 셈이고, 기업이 선택할 수 있는
개발 방법의 폭이 넓어졌습니다. Cloud Z Action 서비스는 단위 서비스을 "액션"이라고 부르는데, 단위 액션들을 결합해 더 큰 단위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Use-case가 무궁무진합니다. 그리고 이를 위해 아래 기능들을
추가하고 있습니다
의존성(애플리케이션이 참조하는 라이브러리) 커스텀 설정
워크플로우 액션 : 여러 액션간 흐름을 정의하여 실행하는 기능
스케줄 액션 : 예약된 시점에 액션을 실행하는 기능
트리거 액션 : 웹훅(Webhooks) 등 이벤트 발생 시 액션을 실행할 수 있는 기능
블루프린트 : Cloud Z Action을 통해 이용 가능한 Use-case 템플릿을 제공해 바로 가져오기 및 사용할 수 있는 가능
Q: Cloud Z Action (서버리스) 개발 환경을 선택한 이유는?
H&S: 전문적으로 게임 개발 공부를 하지 않았고 경험도 없었기에 모르는 것이 많았고 암담했죠. 게임
기업들이 전통적으로 사용하는 개발 환경은 서버 개발자도 많이 필요하고 난이도도 높아서 더욱 엄두를 내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Cloud Z Action 서비스를 만난 후에 나도 게임을
개발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갖게 되었고, 지원 사업에 포함된 Cloud
Z Action 교육에서 “앗, 저런 것도 되네!”라는
순간을 여러 번 경험하면서 자연스럽게 Cloud Z 기반의 게임 개발을 결정했습니다.
내일게임즈: 저도 SK㈜ C&C 게임 Lab에 입소해 교육을 받으면서 확신을 갖게 되었죠. 이전에는 AWS (Amazon Web Service)를 사용했는데 전담 엔지니어가 없는 상황에서 클라우드 서비스 계정
및 서버 생성 및 DB설계 같은 아키텍처 작업과 운영 및 관리까지 하는 것이 너무 힘들었습니다. 그런데, Cloud Z Action 서비스는 아키텍처 작업, 운영 및 관리가 자동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개발 작업에만 집중할 수 있습니다.
저희 같은 작은 게임사에게는 커다란 차이죠.
Q: 인디게임사가 생각하는
Cloud Z Action 서비스의 장점과 단점은?
Cloud Z Action 서비스를 사용하면서 개발에 대해 엄청 공부하지 않아도 쉽게 시작할 수 있었습니다. 저의 경우에도 시작 1주일만에 테스트 게임 모듈을 개발해서 론칭까지
할 수 있었습니다. 현재도 저 혼자서 게임서버 운영과 개발 모두를 책임지고 있습니다. 대형 게임사가 개발하는 관점에서 본다면 불가능에 가까운 일이 벌어지고 있는 거죠.
Q: Cloud Z Action 서비스를 먼저 시도한 기업으로서 하고 싶은 말은?
H&S: 기술과 경험이 없다고 포기하지 말고 시작해 보세요! 우리
H&S처럼 준비가 부족한 기업도 잘 해내고 있습니다! 전문 인력과 기술이 부족해도 MMORPG 같은 서버형 게임 개발이 가능하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네요.
내일게임즈: AWS 위에서 개발 경험을 가진 저도 확실하게 말씀 드릴 수 있을 것 같네요. 인디게임사가
게임 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고, 개발 완성도를 보장하면서 기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확실한 방법입니다.
끝으로 고객사의 추가 질문이 있었습니다.
Q: Cloud Z Action 서비스의 경쟁사 대비 차별점은?
의존성 커스텀입니다. 이 기능은 현재 구글 FaaS에서만
제공되고 아마존, MS, IBM은 제공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리고
어느 경쟁사도 제공하지 않은 WYSIWYG 방식 워크플로우 액션에 대한 고객 반응이 아주 좋습니다. 특히, IT 부서 임원 및 의사결정권자들이 선호하는데, MIT가 개발한 스크래치처럼 사용이 쉽고 업무 흐름에 대한 가시성이 좋기 때문이라는 의견이 많습니다. 그 밖에도 액션을 실행할 수 있는 런타임에 대해 Pool 방식을
채택했고, 타사 서비스 대비 고성능이란 점을 들 수 있습니다.
'Biz & Tech > Cloud Z'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버 관리 NO!! 쓴 만큼만 지불한다고?? (0) | 2019.03.22 |
---|---|
인디 게임사의 고민, 이제 코드만 입력하면 게임 오버! (0) | 2019.01.08 |
Cloud Z Container 서비스의 모든 것 (0) | 2018.11.15 |
스크초 3학년 신인재가 보여주는 면접 합격 비결 ‘인재야 얼른와! 클라우드 면접편’ (1) | 2018.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