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 Z Serverless 서비스가 게임 개발의 꿈을 가능하게 만들었습니다!

필요한 인력과 자금의 확보, 기술력, 심지어 게임 개발 경험과 노하우까지,,,인디 게임사가 게임을 개발 과정에서 만나게 되는 일 중 뭐 하나 내 마음대로 되는 것이 없죠.

시장 상황을 보더라도 국내뿐 아니라 해외 유명 게임 스타트업들도 줄줄이 사업을 접으면서 게임시장의 어려움을 다시 한 번 느끼게 합니다.
이렇듯 어렵지만 도전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특히, Cloud Z Action (서버리스) 서비스가 인디 게임사의 도전을 가능케 하는 강력한 엔진이 되고 있다고 합니다.
장안의 화제였던 G-Star 2018에도 참석했던 2명의 젋은 인디 게임사들을 만나 이야기를 들어보았습니다

*2
개사는 SK C&C 인디게임 지원사업에 선정된 기업입니다.


인터뷰 참석자

1.   인디게임팀 H&S (Hard & Swag)

2.   인디게임팀 내일게임즈




Q: 회사 소개를 간단히 부탁합니다!
H&SH&S (hard & Swag)
은 콘텐츠 진흥원 게임교육원 과정 및 대학교에서 만난 동료들과 뜻을 모아 만든 회사로 모바일 기반 캐주얼 게임을 개발 중입니다. 현재 총 4 (기획 1, 개발 2, 시나리오 개발 1)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내일게임즈: 내일게임즈는 선배와 함께 의기투합해서 2016년 가을에 창업한 회사로 슈팅과 RPG 형식을 결합한 게임을 개발 중이고 개발자 1명과 디자이너 1명의 진짜 인디게임사입니다.



Q: 현재 어떤 게임을 개발하고 있나요?
H&S
현재 개발 중인 리듬퀘스트는 일종의 리듬 게임입니다. 지금까지의 슈팅 게임들은 총알을 피하는 방식인데, 우리 게임은 캐릭터들이 총알을 리듬에 맞춰 막아내고 공격하는 방식입니다. 리듬을 접목해 게임 재미와 속도감을 더욱 높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모험적인 스토리를 가미해서 게임 참여도를 높이려고 합니다.  
내일게임즈: 현재 개발 중인 게임 리틀메이지는 어릴적 오락실에서 보던 비행기 게임의 전투 방식을 스테이지형 RPG에 접목한 장르입니다. PVP, 월드보스레이드, 요일던전 등 다양한 컨텐츠를 준비 중에 있습니다


그럼 잠깐 여기서 Cloud Z Action(서버리스)가 어떤 서비스인지 간단히 알아보도록 할까요?

Cloud Z Action은 서버 관리 없이 서버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입니다. Cloud Z Action FaaS (Function As A Service)이기 때문에 개발자가 서버 환경 구성이나 연계 걱정없이 코드만 작성하면 자동 빌드 및 배포되고, 개발자들이 바로 사용할 수 있는 API Endpoint를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필요 시에만 실행되고 과금되는 Pay-as-You-Go 방식이라 IT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이런 구조적 장점 때문에 인력과 자원이 부족한 인디게임사를 위한 최적의 개발 플랫폼이라고 불리는 것 같네요.
FaaS
를 통해 앱 설계 및 개발의 새로운 트렌드가 생긴 셈이고, 기업이 선택할 수 있는 개발 방법의 폭이 넓어졌습니다. Cloud Z Action 서비스는 단위 서비스을 "액션"이라고 부르는데, 단위 액션들을 결합해 더 큰 단위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Use-case가 무궁무진합니다. 그리고 이를 위해 아래 기능들을 추가하고 있습니다

    의존성(애플리케이션이 참조하는 라이브러리) 커스텀 설정

    워크플로우 액션 : 여러 액션간 흐름을 정의하여 실행하는 기능

      스케줄 액션 : 예약된 시점에 액션을 실행하는 기능

    트리거 액션 : 웹훅(Webhooks) 등 이벤트 발생 시 액션을 실행할 수 있는 기능

    블루프린트 : Cloud Z Action을 통해 이용 가능한 Use-case 템플릿을 제공해 바로 가져오기 및 사용할 수 있는 가능


Q: Cloud Z Action (서버리스) 개발 환경을 선택한 이유는?
H&S
전문적으로 게임 개발 공부를 하지 않았고 경험도 없었기에 모르는 것이 많았고 암담했죠. 게임 기업들이 전통적으로 사용하는 개발 환경은 서버 개발자도 많이 필요하고 난이도도 높아서 더욱 엄두를 내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Cloud Z Action 서비스를 만난 후에 나도 게임을 개발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갖게 되었고, 지원 사업에 포함된 Cloud Z Action 교육에서 “앗, 저런 것도 되네!”라는 순간을 여러 번 경험하면서 자연스럽게 Cloud Z 기반의 게임 개발을 결정했습니다
내일게임즈: 저도 SK C&C 게임 Lab에 입소해 교육을 받으면서 확신을 갖게 되었죠. 이전에는 AWS (Amazon Web Service)를 사용했는데 전담 엔지니어가 없는 상황에서 클라우드 서비스 계정 및 서버 생성 및 DB설계 같은 아키텍처 작업과 운영 및 관리까지 하는 것이 너무 힘들었습니다. 그런데, Cloud Z Action 서비스는 아키텍처 작업, 운영 및 관리가 자동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개발 작업에만 집중할 수 있습니다. 저희 같은 작은 게임사에게는 커다란 차이죠.


Q: 인디게임사가 생각하는 Cloud Z Action 서비스의 장점과 단점은?
Cloud Z Action 서비스를 사용하면서 개발에 대해 엄청 공부하지 않아도 쉽게 시작할 수 있었습니다. 저의 경우에도 시작 1주일만에 테스트 게임 모듈을 개발해서 론칭까지 할 수 있었습니다. 현재도 저 혼자서 게임서버 운영과 개발 모두를 책임지고 있습니다. 대형 게임사가 개발하는 관점에서 본다면 불가능에 가까운 일이 벌어지고 있는 거죠.  


Q: Cloud Z Action 서비스를 먼저 시도한 기업으로서 하고 싶은 말은?
H&S
기술과 경험이 없다고 포기하지 말고 시작해 보세요! 우리 H&S처럼 준비가 부족한 기업도 잘 해내고 있습니다! 전문 인력과 기술이 부족해도 MMORPG 같은 서버형 게임 개발이 가능하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네요
내일게임즈AWS 위에서 개발 경험을 가진 저도 확실하게 말씀 드릴 수 있을 것 같네요. 인디게임사가 게임 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고, 개발 완성도를 보장하면서 기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확실한 방법입니다.


끝으로 고객사의 추가 질문이 있었습니다.


Q: Cloud Z Action 서비스의 경쟁사 대비 차별점은?
의존성 커스텀입니다. 이 기능은 현재 구글 FaaS에서만 제공되고 아마존, MS, IBM은 제공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리고 어느 경쟁사도 제공하지 않은 WYSIWYG 방식 워크플로우 액션에 대한 고객 반응이 아주 좋습니다. 특히, IT 부서 임원 및 의사결정권자들이 선호하는데, MIT가 개발한 스크래치처럼 사용이 쉽고 업무 흐름에 대한 가시성이 좋기 때문이라는 의견이 많습니다. 그 밖에도 액션을 실행할 수 있는 런타임에 대해 Pool 방식을 채택했고, 타사 서비스 대비 고성능이란 점을 들 수 있습니다.



인디게임 개발~마케팅까지 지원하는 인디게임 개발팀과 Cloud Z의 좌충우돌 게임 개발기시작

선정된 H&S·커넥션팀의 게임성·아이디어 우수성·독창성 등을 높이 평가

6개월간 클라우드 제트 기반게임 개발에 최적인 서버리스 컴퓨팅 환경 제공

게임 개발 전 과정 중계.. 내년부터 정식 프로그램으로 확대 운영 계획



SK C&C의 글로벌 멀티 클라우드 서비스 ‘Cloud Z(클라우드 제트)’가 참신한 아이디어와 독창적인 스토리로 무장한 인디게임사의 발굴·육성에 나섰다. SK C&C(사업대표 사장:안정옥www.sk.co.kr) 5일 한국인디게임협회(협회장:김상우)와 함께 ‘Cloud Z(클라우드 제트)’를 기반으로 국내 인디게임사의 게임 개발부터 론칭·마케팅까지 직접 지원하는 인디게임 개발팀과 Cloud Z의 좌충우돌 게임 개발기를 시작했다고 이날 밝혔다. 이번에 선정된 게임사는 에이치앤드에스팀(TEAM H&S), 커넥션팀(TEAM CONNECTION) 2개 인디 개발팀이다. 에이치앤드에스팀의 리듬퀘스트는 게임 속 캐릭터들이 음악을 타고 들어오는 적들에 맞서 공격과 방어를 진행하는 게임이며 커넥션팀의 인디펜던트는 한국과 중국·일본의 영웅들을 캐릭터화 한 대전 중심의 슈팅 게임으로 두 팀 모두 연말까지 개발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

SK C&C는 이번에 선정된 2개 게임사들의 ▲탄탄한 게임성 ▲아이디어 우수성 ▲독창성 ▲발전 가능성 등을 높이 평가해 선정했다. SK() C&C는 향후 6개월 동안 인디게임사에 클라우드 제트 기반으로 언제 어디서나 네트워크에 접근이 가능하고 클라우드 자원을 언제든 동적으로 쉽게 배치해 이용할 수 있는 게임 개발에 최적인 서버리스 컴퓨팅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게임사는 인디게임에 특화된 탄력적인 인프라 및 네트워크 설계운영은 물론 주기적인 게임 품질 및 성능 테스트도 이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게임 론칭 후에 소요되는 1개월의 론칭 안정화 단계까지 클라우드 제트 인프라 무료 이용을 보장하고 론칭시 발생하는 영상 제작·광고, SNS 스타를 활용한 인플루언서 마케팅도 지원한다.

SK() C&C는 게임 기획부터 개발 론칭에 이르는 게임 개발 전 과정을 클라우드 제트 포털은 물론 ▲인디게임 개발자 쉼터인 인디터’(http://cafe.naver.com/indiedev) ▲국내 최대 게임 커뮤니티인인벤▲페이스북·유투브 등에 중계한다. 이를 통해 수집된 인디게임 개발자들의 생생한 의견을 반영해 내년부터는 해당 프로그램을 정규 지원 프로그램으로 확대 운영할 계획이다.

한편 인디게임은 게임 마니아가 주축인 대작 RPG와 달리 색다른 게임을 원하는 소비자의 욕구 변화와 스마트 기기 SNS 등 콘텐츠 사용 환경 변화에 맞춰 여성과 다양한 연령층으로 게임 이용 저변을 빠르게 넓혀가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게임 시장이 몇몇 대형 개발사위주로 편성되어 있어 중소 개발사나 1인 개발자가 직접 인디게임 개발 도전에 나서서 성공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한국인디게임협회 최훈 부협회장은 클라우드 제트를 통해 인디게임 개발자들의 고민인 개발 및 마케팅 비용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됐다인디게임 개발자들과의 소통 속에서 SK C&C와 함께 인디게임 산업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고민해 가겠다고 발했다.

SK C&C 신현석 CloudZ플랫폼본부장은 클라우드 제트를 만나면 누구든 참신한 아이디어를 게임으로 빠르게 구현할 수 있다 "클라우드 제트의 60개 글로벌 클라우드 센터를 바탕으로 국내 인디게임사들이 국내뿐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도 성공 스토리를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