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뱅크, 인공지능 솔루션에 승부 걸다 

지난 30여년간 소프트뱅크의 주요 사업은 변화를 거듭해왔습니다. 80년대 출판 및 소프트웨어 사업에서 시작해 90년대 인터넷 포털 기업, 2000년대에 들어와 초고속 인터넷 사업과 이동 통신업을 주요 사업으로 하는 기업으로 진화해왔습니다. 

여기서 만족하지 않은 소프트뱅크는 한번 더 회사의 운명을 짊어질 새로운 신성장 동력을 찾아왔었고 인공지능 솔루션으로 인해 파생되는 다양한 사업이 4차산업혁명의 미래가 될 것이라는 결론에 다다르게 됐습니다. 

실제로 소프트뱅크가 지난 수년간 인수 및 투자를 진행한 기업들의 대다수는 인공지능 관련 비즈니스 기회를 선점을 위한 기업들로 ‘AI’ ‘빅데이터’, ‘IoT’ , ‘로봇등의 분야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솔루션 적용을 통한 다양한 사업영역으로 확장 

기업과 고객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솔루션인 소프트뱅크 브레인을 구축하고 이를 콜센터와 매장 등의 고객응대에 사용하고 있습니다이를 통해 9개월정도만에 약 4만여건의 데이터를 모았고 매월 5천여건의 정보가 추가되고 있다고 합니다. 

 

[소프트뱅크 브레인]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jgvLd2T-hNU

이를 통해 고객이 콜센터에 문의를 하면 소프트뱅크 브레인에 축적된 데이터들을 왓슨이분석해 운영자가 고객에게 적절한 답변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위와 같은 인공지능 솔루션의 활용으로 인해 고객 평균대응 시간은 대략 15%정도 단축됐다고 합니다. 

인공지능 솔루션을 활용한 개인대출 서비스도 시작했습니다. 소프트뱅크는 일본 미즈호그룹과 협력해 연령과 학력 등을 기준으로 신용도를 자동으로 산출해 대출금액과 금리를 개개인마다 제시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자동화 대출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헬로 사이클링]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9lv69MCDD8Q

일본 편의점 업계 1위인 세븐일레븐은 소프트뱅크와 함께 사이타마현 편의점 9곳에 자전거 공유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소프트뱅크의 자전거 공유 솔루션인 헬로 사이클링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자전거 정거장이 있는 편의점을 확인해 예약하는 방식으로 반납은 언제 어디서든 가능하게 하여 고객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소프트뱅크는 인공지능 기반 스피커인 플렌 큐브(Plen Cube)도 개발했습니다. 플렌 큐브는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고 음성에 반응하는 소형 인공지능 스피커로서 노래를 재생하거나 온라인 검색을 통해 주문도 가능합니다. 소프트뱅크가 인공지능 스피커 개발에 나선 것은 스피커 자체가 사용자의 명령을 인식하고 이를 수행하는 메신저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플렌 큐브]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DgGPuUFy6U


소프트뱅크는 신입사원 예비 입사자 서류전형에 인공지능 평가 시스템을 도입하기도 했습니다. 400여명의 입사지원자들의 자기소개서 심사를 진행했는데요. 이 과정에서 들어가는 시간을 기존 680시간에서 170시간으로 줄였다고 합니다.   

 


이러한 다양한 인공지능 솔루션은 로봇 서비스를 가능하게 만들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소프트뱅크가 개발한 페퍼는 전 세계적으로 약 4000여개의 기업에 공급됐으며 각 영업-판매, 금융 컨설팅, 서비스, 헬스케어

등 다양한 쓰임새의 로봇으로 상용화되기 시작했습니다. 

이렇듯 인공지능 솔루션을 통해 미래 산업을 혁신 시키며 다양한 산업으로 파생시키려는 것은 비단 소프트뱅크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닙니다. 세계 주요 IT기업들은 인공지능 솔루션을 활용해 시시각각 변하고 있는 인공지능 생태계 속에서 새로운 기회를 찾기 위해 혈안이 되어 있습니다. 

이같이 치열한 인공지능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는 인공지능 솔루션과 이를 적용한 서비스의 개척이 성공의 키라는 것은 자명한 사실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