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요즘!

병원, 제약회사 등을 포함한 헬스케어 업계는 인공지능을 도입하고 적용한 여러 실험들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습니다. 코트라(KOTRA)에 따르면 글로벌 인공지능 헬스케어 시장은 2021 67억달러( 7 5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하는데요. 이와 같은 고성장이 예상됨에 따라 IBM, Apple, Google 등과 같은 글로벌 기업들은 일찌감치 의료 관련 인공지능에 많은 투자와 연구를 진행하며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기회를 엿보고 있습니다. 

이 중 현재 헬스케어 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며 널리 알려진 인공지능은 단연 IBM의 왓슨(WATSON)을 꼽을 수 있습니다. 최근 국내 대형병원을 중심으로 Watson을 도입해 암을 진단한다는 기사들을 많이 접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현재 헬스케어 분야에서의 왓슨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좀 더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Watson for Oncology, Aibril 항생제 어드바이저

지금 가장 많이 알려진 인공지능 기반 의료 서비스인 Watson for Oncology IBM과 미국 메모리얼 슬로언 케터링 암센터가 공동연구를 통해 개발한 Watson 기반의 암 치료 보조 솔루션 입니다. 암과 관련된 수 많은 논문, 임상결과, 학술지들을 분석해 개별 환자들의 증상에 따라 의사에게 치료법을 추천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는데요. 담당 의사가 암환자의 의료 기록, 검진결과 등을 입력하면 학습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Watson for Oncology가 최적의 치료법을 제시해주게 됩니다. 

같은 종류의 암이라 하더라도 개별 환자마다 특성, 증상 등은 조금씩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의사의 맞춤형 치료가 환자의 회복에 큰 영향을 주게 됩니다. 이 때 왓슨(Watson)이 의사의 효율적인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되는것이지요.

올해 4월부터는 국내에서도 SK와 건양대병원이 협력해 Watson for Oncology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지난 몇 개월간 사용하고 있는 Oncology 서비스에 대해서 건양대 병원측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현실적으로 의사들이 바쁜 진료 스케쥴로 인해 최신 의료 정보와 문헌을 모두 파악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왓슨이 추천해주는 치료 방법이 큰 도움이 된다는 의견입니다.

무엇보다 환자들이 느끼는 의료진에 대한 신뢰 증대, 의료의 질적 개선 측면에서 높은 점수를 주고 있습니다.


 

고려대학교 의료원과 ‘AIBRIL 항생제 어드바이저공동 개발 발표 

암치료 뿐 아니라 항생제 처방에도 왓슨(WATSON) 기반의 에이브릴(AIBRIL)이 사용될 예정입니다. 올해 5 SK는 고려대학교의료원과 ‘AIBRIL 항생제 어드바이저공동개발을 발표했습니다. AIBRIL 항생제 어드바이저는 국내외 논문, 가이드라인, 약품 정보, 보험 정보 등의 의료 문헌과 고려대 의료원 임상케이스를 학습하여 환자 증상에 적합한 항생제를 추천합니다.

의사의 항생제 오남용을 막고 효율적인 진료가 가능하도록 도와준다는 점에서 향후 매우 높은 효용성이 기대됩니다.

 

유의미한 데이터 베이스 확보가 중요! 

위에 소개 드린 Oncology, 항생제 어드바이저 등과 관련해 가장 유의할 점 중 하나는 서비스의 데이터베이스가 되는 유의미한 데이터를 확보, 선별하는 일입니다. 어떤 종류의 임상 결과, 학술지 등이 인공지능 학습에 활용되었는지에 따라 에이브릴(AIBRIL)이 추천하는 암 치료법은 매우 다를 수 있습니다.

이는 곧 개별 환자에 대한 치료 방법에 있어 의사와 인공지능 의견 차이가 빈번해질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의미이기도 하죠. 

예를 들어 Oncology의 경우 미국 내 사례를 학습한 결과 기반의 치료법을 제시해주고 있는데, 해당 치료법이 한국 내 적용 될 경우 미국과의 진료환경이 달라 실제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국내 보험 수가와 미국 보험 수가의 차이 및 미국과 한국 간 인종 차이도 치료법, 항암제 선택시에 함께 고려할 요소이기도 합니다. 

Oncology, 항생제 어드바이저 외에도 에이브릴(AIBRIL) 기반의 의료서비스는 앞으로도 계속 개발될 예정입니다. 질병의 예방, 진단, 치료, 관리, 연구 등의 영역에서 앞으로도 다양한 Use-case들이 연구되고 있고 다소 시간이 걸리겠지만 에이브릴(AIBRIL)기반 여러 솔루션들이 점진적으로 공개될 것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에이브릴(AIBRIL)이 인간 의사를 완벽히 대체할 수는 없습니다. 대신 지속적인 발전과 학습을 통해 적합한 치료법을 추천해주는 조력자로서 그 역할과 의무를 다 하리라 기대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