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SK주식회사 C&C의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이하 AI)사업 에이브릴(AIBRIL)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aas(Software as a Service) 형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Saas 란 이름에서 유추할 수 있듯일반 사용자를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소프트웨어입니다. 때문에 프로그래밍을 배우고 있는 초급자라도 쉽게 API를 활용해 AI 서비스 개발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습니다. 

즉 도메인에 대한 정보만 갖고 있다면 쉽게 AI 플랫폼 개발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는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막상 디바이스에 적용하려면 여러 가지 난제에 봉착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장치 드라이브들과 연동을 해야 하는데 이 때 개별적 코딩이 필요하고 또 환경 설정에 굉장히 많은 시간을 할애하게 되죠.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고민하던 중 희소식을 접했습니다. 바로 IBM이 공개한 머신 러닝 개발 플랫폼 프로젝트 인투(Project Intu)’ 입니다.   

아직 한글화 작업은 되어있지 않지만 여러가지 디바이스에 대한 통제를 개발자가 일일이 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었습니다. 단지 인투(Intu)를 설치하는 것 만으로 해당 디바이스에 대한 통제가 가능하다니, 빨리 이를 활용해 무언가 만들어 보고자 하는 욕구가 샘솟네요.  본격적인 사용기에 앞서 아래 인투(Intu) 개념도를 소개합니다. 이해 하시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프로젝트 인투(Project Intu) 개념도


먼저 홈페이지 https://rg-gateway.mybluemix.net/에 접속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인투(Intu)에 대한 개요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용하기 위해서는 로그인이 필요한데요, 기존의 IBM Bluemix 에서 사용하던 아이디로도 가능합니다.


 

▲ 출처. https://rg-gateway.mybluemix.net/



로그인 후에는 내 계정과 연결되어 있는 디바이스들의 목록을 확인하고 추가, 삭제, 활성화 등에 대한 통제를 브라우저에서 간단하게 할 수 있습니다.


 

▲ 출처. https://rg-gateway.mybluemix.net/



처음 접속하신 분들은 자신의 디바이스에 인투 런처(Intu Launcher)를 설치하기 위해 OS에 맞는 프로그램을 다운 받아야 합니다. 대부분의 OS는 다 지원 되며, 저의 경우 MacRhasberry pi OS Rhasbian에 런처를 설치했습니다. Rhasbian은 테스트 중 와이파이 관련 문제가 발생했기에 주로 Mac을 활용했습니다.

 


본격적으로 인투(Intu) 설정하고 사용해보기! 

인투 런처를 다운 받으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해당 창에 기본적인 설정을 하면 되는데, 사양 등에 따라 다양한 해상도와 속도 등 설정이 가능합니다. 자신의 디바이스에 맞게 설정한 후 Play 를 누르면 런처 실행!

기본적으로 현재 실행되고 있는 디바이스내에 있는 장치들에 대해서는 인식이 가능한 것 같았습니다. 별도로 마이크, 추가 모니터, 카메라, 스피커 등에 대한 설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이 인상 깊었습니다.


 

인투 런처(Intu Launcher) 실행 시 나오는 화면



아래 화면과 같이 웹 브라우저와 별개로 추가 로그인 창이 뜹니다. 이 글 도입 부분에 보았던 <인투(Intu) 개념도> Intu Embedded Manager 부분이 런처를 통해 컨트롤 되는 부분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 출처. https://rg-gateway.mybluemix.net/


로그인 후에는 지금 런처를 실행하고 있는 장비뿐 아니라 이와 연동된 다른 디바이스에도 런처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인투런처(Intu Launcher)가 설치되면 디바이스에 대한 권한이 생기며 연결되어 있는 장치를 통제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브라우저 상에서 연동되는 API등에 대한 설정이 가능합니다. 목적에 따라서 API를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게 되는데요, 아래 화면은 제가 샘플로 생성한 인투 프로젝트(Intu Project)입니다. 현재 사용하는 API의 현황을 보여주며 브라우저 상에서 해당 내용을 저장하면 인투(Intu) 내에서 자동적으로 반영됩니다.


▲ 출처. https://rg-gateway.mybluemix.net/


 

제가 이미 API를 통해 생성해 놓은 서비스가 있기 때문에 API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Edit 창에 입력하면 사용할 수 있습니다. 환경을 설정하고 다시 인투(Intu)를 시작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뜹니다.


▲ 출처. https://rg-gateway.mybluemix.net/



위에 보시는 화면에서 제 디바이스 상에 있는 모든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됩니다. 기본적으로는 마이크와 STT, 스피커와 TTS가 연동되며 Conversation API를 통해 대화가 가능해 집니다. 사실 여기까지는 당연한 소리라고 생각하실 수 있지만, 인투(Intu)를 활용하면 컴퓨터에 연결되어 있는 카메라 등 다른 디바이스까지 통제가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Camera On”이라고 말하면 카메라가 켜지고 “Camera Off”라고 말하면 꺼집니다. OS에서 인식되고 있는 모든 장치가 자동 인식된다는 것이죠!

 

지금까지 간단한 프로젝트 인투(Project Intu) 실행기를 소개했습니다~ 아직은 실험 단계이지만 생각보다 쉬운 조작으로 여러 디바이스를 한번에 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매력적인 프로젝트임에는 분명하네요. 저도 추후 Rhasberry pi에도 설치해 더 많은 내용을 진행해 볼 예정입니다.


 



댓글
댓글쓰기 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