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기업 비즈니스의 핵심 트렌드로 자리잡으면서,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기업과 그렇지 못하는 기업들의 차이가 더욱 심해지고 있는 추세 입니다. 

2025년까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의한 사회 부가가치 창출 규모가 100조달러에 달한다고 하니, 이 같은 시대의 흐름에 함께할 수 밖에 없는 디지털 전환을 위해 NEXT STEP을 준비해야 하는 것이 당연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이와 같은 추세 속에서 글로벌 기업들마다 생각하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대한 정의와 성공전략이 다를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럼 각 기업들과 기관에서 생각하고 있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어떤지 간략하게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IBM

기업이 디지털과 물리적 요소들을 통합해 비즈니스 모델을 변화시키고, 산업에 새로운 방향성을 정립.

 

AT.Kearney

모바일, 클라우드, 빅데이터, 인공지능, IoT 등 디지털 신기술로 촉발되는 경영 환경상의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함으로써 현행 비즈니스의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높이거나 새로운 비즈니스를 통한 신규 성장을 추구하는 기업 활동을 지칭함.

 

마이크로소프트

데이터 기반으로 고객, 직원, 운영 프로세스에서부터 제품 혁신까지 전반에 걸쳐 지능화된 시스템으로 혁신적 변화를 만들어 내는 것.

 

씨티그룹

업무에 적합한 인재의 확보와 비즈니스 환경 변화에 대한 신속한 대응능력이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의 핵심.

 

GE

과거에는 제품을 한번 생산하여 판매하면 끝이었지만, 현재는 데이터 분석 서비스를 통해 추가적인 매출을 낼 수 있다고 생각함. 과거 GE가 발전터빈, 항공기 엔진 등을 판매하는 회사였다면, 이제는 데이터를 분석하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등 최신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가상과 현실세계를 연결하는 IT기업으로 트랜스포메이션.

 

SK주식회사 C&C

4차 산업혁명을 통해 산업 전반에 걸쳐 데이터에 기반한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혁명이 일어날 것. 모든 산업에 걸쳐 고객 중심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여 디지털 중심의 고부가 사업으로 전환을 추진하는 것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핵심.


도미노피자

명확하면서도 단순한 목표를 수립한 후 팀을 작게 만들어 프로젝트에 맞춰 운영. 먼저 Small Market에서 테스트를 진행한 후 이를 조금씩 Big Market으로 확장해 나간다. 이후 고객들로부터 받은 디지털 피드백(데이터)을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배달 업무에 활용하는 것이 DT의 핵심.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추진하고 있는 기업들을 보면 공통점이 있습니다. 

첫 번째로 데이터 수집과 이를 분석하는 것의 중요성을 분명하게 이해하고 이를 기업의 중요 자산으로 활용한다는 점입니다. 이를 통해 경쟁사와 글로벌 기업들의 현황 등에 대한 생태계 동향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로 최적화된 데이터 분석을 통해 데이터 주도형 기업으로 탈바꿈하는 것입니다. 데이터를 통해 큰 그림을 확인함으로써 기업에 더 큰 가치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세 번째로 데이터를 기반한 신속한 의사결정을 통해 고객과 구성원에게 고도화된 디지털 경험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디지털 환경에서 가장 중요한 이해당사자들에게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해주는 것입니다. 

위의 3가지 공통점은 전 산업 군을 아우르는 디지털 전환의 시대에서 '생존의 키워드'라고 할 수 있습니다. , 효과적인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위해서는 명확한 인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 분석과 내부/외부 프로세스의 디지털화, 고객 및 구성원에 디지털 경험을 제공하는 등의 기업차원의 무브먼트가 선행되어야 기업 혁신과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