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야구공을 보면 108개의 실밥이 봉합선을 따라 촘촘하게 엮여 있습니다. 봉합선을 영어로 ‘Seam’이라고 합니다. 봉합선을 잘 활용하면 Two-seam Fastball, Four-seam Fastball 등의 구질을 구사할 수 있습니다.


[Image 1. 야구공의 봉합선 (Seam) 은 구질을 다르게 만듭니다.]



Seamless

디지털은 좀 다른 듯 합니다. ‘Seamless, 달리 말하면 사용자 경험에 걸림돌이 없고 연속성이 보장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는 Seamless라는 단어를 들으면 Apple의 이어폰인 ‘EarPods’가 떠오릅니다. iPhone iPad, iMac MacBook 어디에 연결해도 동일하게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Apple이 한 단계 더 Seamless한 기기를 내놓았습니다. Bluetooth 이어폰인 ‘AirPods’입니다. (http://www.apple.com/airpods/) 별 다를 게 없어 보이는 Bluetooth 이어폰으로 Apple이 시도하는 혁신은 무엇일까요?


 

Apple과 음악 혁신

Apple과 음악은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입니다. iPod은 음악을 소화하는 방법을 혁신했습니다. iTunes는 음악 유료화에 지대한 공헌을 했습니다. Apple Music은 음악 Streaming 시장의 지평을 넓혔습니다.

 

Link 1. ‘Apple 음악 사업의 새로운 방향, Apple Music’ 

 

Apple은 음악 산업의 혁신을 넘어음악을 듣는 경험역시 혁신하려는 의지를 갖고 있는 듯 합니다. AppleBeats 인수를 통해 음악 기기로 음악 사업의 영역을 넓히고 있습니다.

또 다른  시도가 AirPods입니다. 지금까지 우리가 음악을 들어온 경험은,

1. 기기는 끊임 없이 발전했습니다. 워크맨, CD 플레이어, MP3 등에 이어 스마트폰에 이르렀습니다. 지금도 음악을 들으려면 3.5mm의 헤드폰 잭에 헤드폰이나 이어폰을 연결합니다.

2. Bluetooth 이어폰이나 헤드폰을 사용하지 않는 여전히 많은 사용자들은 선으로 연결된 상태로 음악을 들어야 합니다. 선이 걸리적거리면 불편합니다. 조금만 부주의하면 선이 끊어지거나 고장날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의 무게 때문에 이어폰이나 헤드폰이 흔들리고 귀가 불편할 수도 있습니다.

3. Bluetooth를 사용하더라도 기기와 기기 간의 이동이 Seamless 한 것은 아닙니다.


iPhone 7 출시에 맞춰 Apple이 꾀한 변화는 AirPods 출시와 함께 3.5mm 헤드폰 잭을 제거하는 것이었습니다. 기존의 유선 헤드폰과 이어폰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여전히 존재합니다. 하지만 앞으로의 표준은 무선임을 선언한 셈입니다.

이 같은 Apple의 시도를 저는 MX Music Experience 의 혁신을 위한 시도라 부르고 싶습니다.



6 Weeks

Apple 제품을 구입하는 데 이렇게 오래 걸린 건 처음입니다. 출시 후 두 달이 지나서도 여전히 6주나 기다려야 AirPods를 받을 수 있습니다. 수요를 미처 예상하지 못했는지, 초반 공급 물량이 지나치게 낮았습니다.


무난한 착용감과 음질

AirPods는 플라스틱 케이스에 담겨 있습니다. 케이스는 보관함과 충전기의 역할을 동시에 합니다. 일종의 보조 배터리 역할을 한다는 점이 독특합니다. 10분만 충전해도 2시간 이상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순식간에 충전됩니다.


Image 4. AirPods



배터리와 센서가 더해져 조금 볼록해진 것 외에는 EarPods AirPods의 외관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한 가지 분명한 차이, 선이 전혀 없습니다. 사진에는 보이지 않지만, EarPods는 이곳 저곳에 걸려서 만신창이가 됐습니다. AirPods는 걸리적거릴 일이 없어 좋습니다. (AirPods을 꼭 필요로 했던 이유 중 하나는, 설거지나 청소를 할 때 선으로 인해 느끼는 불편함을 덜기 위함입니다. 대만족입니다!)


Image 5. EarPods와 AirPods


Apple 제품의 Bluetooth를 켜고 AirPods 가까이에 둡니다. AirPods의 케이스를 열자마자 AirPods는 가까이에 위치한 Apple 제품을 인식하고 연결을 시도합니다.

AirPods를 착용하고 조깅도 해 봤는데 빠지지 않았습니다. 사용자에 따라 차이는 있다고 합니다. EarPods의 선으로 인해 느껴졌던 무게감을 AirPods에서는 느낄 수 없었습니다.

출시 초기에 디자인이 튀거나 촌스럽다는 반응이 있었습니다. 막상 끼고 다녀도 의식적으로 쳐다 보는 사람은 거의 없는 듯 합니다.

음질 역시 무난합니다. EarPods과 비슷한 수준으로 보시면 됩니다. , 기기와의 거리가 짧음에도 간헐적으로 연결이 끊기는 현상이 있습니다.

 


독특한 Operation

AirPods에는 W1 Processor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여러 기능을 수행하는데, 그 중에서도 AirPods 착용 여부를 확인하고 자동으로 재생과 정지를 해 준다는 점이 두드러집니다. 며칠 사용해 보니 크기가 작기 때문에 분실이 가장 염려됩니다. 귀에서 빠졌을 때 바로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분실의 염려를 덜어줍니다.

AirPods의 하단에는 마이크가 있습니다. 마이크 성능이 훌륭하다는 평이 많습니다. 왼쪽, 혹은 오른쪽 마이크를 사용할지, AirPods이 판단하게 할지를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AirPods 구입을 망설이는 사람들에게 치명적인 단점이 하나 있습니다. 컨트롤이 불편하다는 점입니다. AirPods를 두 번 톡톡 두드리면 재생과 정지를 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혹은 Siri를 호출하게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음량 조절이나 다음 곡 재생 같은 기본적인 컨트롤은 터치로 할 수 없습니다. 결국 기기를 꺼내어 컨트롤 해야 합니다.


Pairing

Bluetooth 기기의 Pairing은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한 기기에서 다른 기기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연결되어 있는 기기의 Bluetooth 연결을 설정에서 해제하고, 다른 기기와의 Bluetooth 연결을 설정에서 맺어야 합니다. AirPods는 이 점을 노린 듯 합니다. 혁신의 방점은 기존 Bluetooth의 경험을 차별화 하는 것입니다.

AirPods Pairing을 마치면 iCloud 계정을 공유하고 있는 모든 기기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한 기기에서 사용하고 있다가도 다른 기기에서 AirPods를 출력 장치로 선택하기만 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하지 않다가 다시 사용하면 가장 가까이에 있는 기기에 알아서 연결됩니다. 기기와의 거리는 iBeacon으로 측정됩니다. 스마트한 BluetoothAirPods의 최대 강정입니다.


Implication

일상에서 흔히 사용하지만 수십 년 간 혁신의 영역 밖에 존재했던 캐리어를 스마트하게 혁신한 ‘Raden’이 주목 받고 있습니다. 더 이상의 혁신은 없다고 많은 사람들이 말하지만, 혁신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Link 2. ‘이제 끌지 말고 동기화 하세요, 스마트 캐리어 Raden’ 

 

Apple 역시 AirPods를 통해 작게는 Bluetooth, 크게는 음악 산업에 혁신의 불씨를 피우고 있습니다. 그 효과가 당장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관련 기업들과 제품들이 움직임을 보이는 것만으로도 변화는 시작된 것이라 생각합니다.

위에서 언급했던 아쉬운 점들이 보완된 2세대 AirPods을 기대해 봅니다.






댓글
댓글쓰기 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