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지난 132015 빅포럼(BIG Forum·Bigdata Initiative of Gyeonggi)이 성남시 판교 경기창조혁신센터에서 열렸습니다.

이 행사는 빅데이터가 갖는 효용성을 널리 알리고 이를 이롭게 사용하기 위해 다국적 이해관계자 및 전문가가 참여하여 글로벌 거버넌스, 활용확대, 개인정보 보호, 빅데이터를 통한 과학적 행정구현 등 주요 이슈에 대하여 논의하기 위한 글로벌 행사였습니다.

경기도와 서울대학교가 공동 주최하고 경기콘텐츠진흥원, 한국정보화진흥원이 주관한 이번 포럼에는 빅데이터 분야 최고의 석학으로 꼽히는 토마스 데이븐포트 미국 밥슨대학 석좌교수를 비롯한 국내외 전문가들이 참석하여 빅데이터에 관심이 관계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고 합니다.



특히 이날 경기도는 남경필 경기지사는 빅데이터 이니셔티브를 실현하기 위해 이번 포럼을 준비했다고 밝혔는데빅데이터 이니셔티브는 빅데이터 거버넌스빅데이터 오픈 플랫폼데이터 에코시스템 등 경기도가 선도적으로 추진 중인 빅데이터 정책을 통칭합니다.

그래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안전하고 따뜻한 도정을 만들어 가고 있는 경기도의 대표적인 시범 사업들이 무엇이 있는지 살펴 보았습니다.




   공동주택 관리비・계약형태 부조리 분석


공동주택 관리비공사・용역 입찰 데이터 분석을 통해 부조리를 방지하는 사업으로 아파트 관리비전기・상수도・난방요금 부과 데이터 및 입찰 데이터 등을 분석유형별 부조리 패턴을 도출하여 비정상적인 운영상태를 파악하여 투명하고 깨끗한 도정을 만드는데 기여할 사업입니다. (시범지역-안양시)


   도로 포트홀(Potholes) 실시간 모니터링


이동통신사의 내비게이션을 통해 도로 상태를 실시간으로 체크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포트홀이 감지되면 신속하게 보수하여 안전한 도로환경을 조성하는 사업입니다스마트폰 센서로 충격 데이터를 수집패턴 분석하여 포트홀 판정 및 우선순위를 파악하는 방식으로 모니터링 됩니다. (협업기업-SK플래닛)


   CCTV 사각지대 분석


CCTV로 볼 수 없는 사각지대를 파악하고 설치 우선순위를 도출과학적이고 효율적인 CCTV 설치 방안을 마련합니다소지역 단위 범죄취약 정도, CCTV 감시취약 지역 파악유동인구 분석 등을 통해 우선적으로 설치가 필요한 지점을 도출해 냅니다아울러 도시의 유형에 따라 표준 분석모델을 개발하기도 합니다. (도시형-수원도농복합형-파주농촌형-양평)


   굿모닝버스 및 따복버스 노선운영 분석


사회적 문제로까지 이슈가 되었던 광역버스 출퇴근 불편을 최소화하고교통소외지역 해소를 위해 굿모닝버스와 따복버스 노석을 분석하는 사업입니다빅데이터 분석 대상은 교통카드 사용 데이터버스노선 및 정류소 데이터이통사 유동인구 사용 데이터 등으로 공공민간 데이터를 융합하여 분석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굿모닝버스-김포시따복버스-가평군김포시시흥시파주시포천시)


   소상공인 주요업종 상권 분석 및 컨설팅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상권을 입체적으로 분석한 보증지원 및 분석자료를 제공하여 자영업자의 창업 및 사업 성공률을 제고하는데 활용합니다대기업에 비해 상권을 분석하고 이해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노하우가 부족한 소상공인들에게 전문적인 컨설팅을 제공함으로써 경쟁력을 높여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분석대상업종-치킨,호프,한식/백반,카페/커피전문점 등)


   성범죄 취약지역 분석


성범죄 현황사회・인구학적 특성 데이터 등을 활용한 성범죄 취약 지역 분석은 여성안전 정책을 지원하는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 중에 있습니다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상대적으로 성범죄가 발생하기 쉬운 지역을 사전에 예측하고 이에 대한 치안 활동을 실행하여 범죄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시범지역-수원시,부천시,의정부시,시흥시)


   어린이 등・하교길 안전실태 분석


어린이 등・하교길 및 거주기 주변 위험 요인을 분석하여 안전한 어린이 안심환경을 만드는 사업입니다. 린이 교통사고는 1년 중 활동하기 가장 좋은 5월에서 7월 사이가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시간대는 오전 등교 시간대 보다 오후 하교시간대인 14시에서 18시 사이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여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책과 방안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대상-도내 3개 시범 초등학교)


   G마크 축산물 전문판매점 분석


G마크는 지난 2000년부터 경기도가 육성한 농특산물 품질 인증 통합 브랜드로 생산단계부터 판매까지 엄격하고 까다로운 관리를 통해 품질을 보증하는 브랜드마크입니다이런 G마크 전문 판매점을 신청한 업체에 대해 상권고객 분석을 통한 판매망 확보를 지원하고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소상공인지원센터)와 협업하여 전문 컨설턴트의 방문 컨설팅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도내 외국인 관광행태 분석


경기도를 찾는 많은 외국인들의 관광 동선과 소비행태 분석을 통한 국가별 맞춤 관광 정책을 수립하여 관광객의 만족도 증대와 관광 수입 증대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사업입니다기존 관광객 대상 설문조사 방식을 넘어서 이통사의 로밍 데이터신용카드 데이터 분석 등의 객관적 지표를 통해 보다 정확한 관광행태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도내 지역축제 분석


도내 우수 지역축제들에 대한 효과성 분석 및 컨설팅을 통한 국가 대표축제로의 선정 및 지원을 수행합니다축제 방문객 인구통계학 분석소비형태 분석선호도 분석 등 다양한 분석 데이터를 통해 경쟁력 있는 지역축제로 발전할 수 있도록 합니다주요 분석 대상으로 (안산)국제거리극축제, (의정부)국제음악축제, (연천)구석기축제 등이 있습니다.


이와 같이 경기도는 도내 31개 시군과 26개 산하기관에 흩어져 있는 각종 공공 정보들을 모아서 빅데이터로 만들고, 이 데이터들을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BigFi’(Big Data + Free Information) 프로젝트를 선언, 추친하고 있습니다.

데이터 기반의 도정 혁신를 통해 투명한 도정, 데이터 산업 생태계 조성, 활용 문화 확산 등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참고자료> 2015 Big Forum program leafl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