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김형중의 지속가능경영이야기] 지속가능경영 Talk<2화> 지속가능경영이란 과연 무엇인가?
SK(주) C&C 블로그 운영자 2014. 8. 25. 13:13지난 시간에 지속가능경영이 생겨난 이유에 대해서 ‘매슬로우 욕구 피라미드’ 및 ‘캐롤의 피라미드’를
예시로 들었다,
캐롤의 피라미드는 ‘기업에게 요구하는 수준’이 점점 경제적 책임에서 사회적 책임으로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속가능경영이라는 개념이 생겨나게 된 것은 바로 ‘캐롤의 피라미드’에서 요구되는 기업의 책임이 점점 상위로 올라가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지속가능경영이 생겨나게 된 이유를 알게 되었는데 그렇다면 지속가능경영이라는 것은 정말 무엇일까?
‘지속가능경영이란 기업이 경영에 영향을 미치는 ~ ’ 이런 식의 학문적 접근은 정말 경영학을 접하지 않은 사람이라면 이해하기 힘들다. 사실 나 또한 입사하고 나서 지속가능경영에 대해 잘 모르던 상황에서는 ‘지속가능경영 정의’라는 질문에 대해 ‘기업이 경제적 책임 뿐만 아니라 사회적 책임을 추구하는 ~ ’ 으로 대답할 수 밖에 없었다.
지속가능경영이라는 개념은 사실 낯설지 않은 개념이다.
학문적으로 ‘지속가능경영’ 이라고 이름을 붙여서
낯설 뿐이지 이미 우리는 지속가능경영을 하기 위해 노력을 하고 있다.
출처 :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1/1117/pimg_736553166712827.png
위의 그림은 지난 시간에 설명 드렸던 매슬로우 욕구 피라미드이다. 본 그림을 다시 기억하시면 더욱 이해하시기 쉬울 것이다.
위의 사진은 아프리카의 뿔 지역에서 굶주림에 허덕이고 있는 한 아이의 모습이다. 이 지역의 사람들에겐 당장 의식주를 해결하는 것이 가장 시급한 문제일 것이다. 이 아이에게 ‘소원’을 물어본다면 배불리 먹는 것이 꿈이 아닐까?
위의 지역 아동들은 아직까지 매슬로우 욕구 피라미드에서 ‘생리적 욕구’ 마저도 해결을 못하고 있는 것이다. 당장 생리적 욕구부터 해결할 수가 없는데 안전할 리가 만무하고 교육이나 문화생활같은 자아실현은 꿈도 꾸지 못할 것이다.
글을 보는 여러분들에게는 위의 내용이 사실 공감하지 못할 수도 있다. 먹을 것이 넘쳐나는 우리나라에서는 굶어 죽는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이다. 개인적으로는 매슬로우 욕구 피라미드에서 봤을 때는 우리나라에서 사는 일반적인 국민들은 가장 상위인 ‘자아 실현의 욕구’를 실현한다고 볼 수 있을 것 같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우리나라 국민들이 평균수명이 높을까? 아니면 아프리카 지역의 국민들이 평균수명이 높을까? 당연히 우리나라 국민의 평균수명이 높다. 그렇다면 그 이유는 무엇일까?
이는 바로 지속가능경영에서 찾아볼 수 있다. 우리의 인생을 지속가능경영에 대입해 보면 우리의 지속가능경영 목표는 ‘무병장수’하는 일일 것이다. 그렇다면 무병장수 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출처 : http://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002/htm_20100218162101190000190200-002.JPG
위의 표는 세계 10대 장수촌에서 발견한 건강의 법칙이다. 미국의 생물학자 레너드 헤이플릭(Leonard Heylick)은 인간의 정상 수명을 120세로 봤다. 이 말은 곧 인간의 장수가 우연은 아니며 건강한 생활습관이 함께하면 충분히 달성 가능하다고 본 것이다.
장수하는 최강의 9단계를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다.
"활동적으로 살아라 •배가 80% 정도 찰 때까지만 먹어라 •채식 위주의 식단을 짜라 •적포도주를 한 잔 마셔라 •인생의 목표를 정하라 •느긋한 마음을 가져라 •종교나 영적 공동체의 일원이 되어라 •사랑하는 사람을 우선시하라 •가치관을 공유하는 사람을 주변에 두어라"라고 볼 수 있다.
마음은 느긋하게 소식하며 운동도 강도가 너무 높지 않도록 꾸준히 하라는 말씀!
결론은 우리의 지속가능경영 목표는 바로 무병장수 하는 것이며 이를 위한 활동은 소식하고 육식과 채식을 골구로 먹으며 운동도 꾸준히 하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겠다.
이제 우리가 알아보고자 하는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에 이를 대입해 보자.
사실 우리나라 상법에서는 기업도 하나의 인격체로 취급하여 법인(法人)이라 불리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에 비유하는 것이 이상하지도 않다. 사람의 지속가능경영 목표는 무병장수 하는 것이라고 말씀드렸다. 법인의 지속가능경영 목표는 ‘기업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발전’ 이라 할 수 있다.
그렇다면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을 하기 위한 비결은 무엇일까! 사람과 똑같다. 밥도 골고루 먹고 운동도 적당히 하는 것이다. 즉, 이윤도 추구하면서 지역사회를 위한 사회공헌 활동과 협력회사를 위한 동반성장 지원을 성실히 수행하며 향후 미래의 신성장이 될 분야에 아낌없이 투자하는 것이다.
어렸을 때 부모님께서 야채를 먹으라고 하면 먹기 싫다고 투정을 부린적이 있을 것이다.
이 글을 보는 여러분들께서는 ‘편식’이 몸에 좋지 않다는 것을 알고 계실 것이다. 실제로 ‘육식’을 위주로 먹는 사람이 ‘육/채식’을 골고루 먹는 사람 보다 고혈압 등 성인병에 더 취약하다는 사실은 더 강조하지 않아도 알고 계시는 사실일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어렸을 때부터 편식을 하지 말라고 부모님께 잔소리를 듣고 자랐다. 그리고 이러한 부모님의 잔소리(?)와 노력으로 인해 우리는 잘 성장할 수 있었다. 기업도 마찬가지이다. 기업도 이익추구에만 너무 몰입하며 이를 ‘편식’하다 보면 분명히 이에 따른 부작용이 나타나게 된다.
기업이나 사람이나 지속가능하기 위해서는 바로 ‘편식’하지 않고 골고루 먹으며 적절하게 운동하고 마음을 긍정적으로 갖는 것이 필요하다. 결국 지속가능경영이란 이를 시행하는 것이다.
지속가능경영은 결국 ‘편식하지 않는 것’이다.
사람이나 기업이나 지속가능경영은 어려운 것이다. 하지만 꼭 해야 할 수 밖에 없다. 바로 우리가 원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함께해요 C&C > Happine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복장학금] 행복장학생이 되면서 연수에게 찾아온 온기 (0) | 2014.09.01 |
---|---|
SK 채용의 모든 것을 알 수 있는 기회! 2014 SK Talent Festival이 개최됩니다! (0) | 2014.08.28 |
SK C&C 여름방학 청소년 IT 특강’ - ICT 기술의 원리 탐구 및 미래 체험의 견학 현장 (0) | 2014.08.22 |
[김형중의 지속가능경영이야기] 지속가능경영 Talk<1화> 지속가능경영이 생겨난 이유 (1) | 2014.08.10 |
- Total
- 5,155,185
- Today
- 18
- Yesterday
- 81